https://twitter.com/KobeissiLetter/status/1914329068947808476
1. 관세 일시 정지는 78일 남았습니다.
2. 일본/멕시코와 무역협정 체결 안 돼
3. 연준 정책 불확실성 (저는 이것보다 연준 독립성 불확실성이라 해석, 물론 1935년 대법원 판례로 해임 정당성은 없음)
4.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USD 약세
5. 트럼프, "비관세 회피"를 표적으로 삼다
6. 중국, 무역 파트너 고립
갭 하락후 빠지기 시작하는 장 흐름에 모든 것을 인버스 6개로 시작해서 청산후 재진입 6개+1개 더 늘렸습니다.
그 흔한 재무부 풋 정책(은행 SLR 규제 완화-의회 통과 필요, 장기국채 Buyback, 기업 세금감면)등도 없는 시장에 실망했습니다.
트럼프발 자산시장 붕괴로 판단합니다. 트럼프가 변하지 않는 한 변화는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봅니다.
VIX 37.55 gap을 메울 것으로 판단합니다.
관세정책을 막을 가장 빠른 길은 현재로는 캘리포이나 주지사가 제기한 소송으로
2023년 대법원이 바이든 행정부의 학자금 대출 탕감 계획을 무산시킨 판례를 인용했다. 당시 대법원은
“국가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책은 단순한 행정명령으로 추진될 수 없으며, 의회의 명확한 승인이 필요하다”
고 판결한 바 있습니다.
1차
5115
5081~5030
국장은 팔고 싶지 않은것도 있고 여력이 남아있는 상태라 헷지는 KRX 금 현물 ETF로 했습니다.
여차하면, 미장 영향으로 하락이 불가피해보이면, 역시 줄여야한다고 판단합니다.
4835-5841 상승(1파)에서 5101(상승폭의 58.8%) 하락하고 장 막판 1시간 상승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상승하면 최상의 형태인데....조금 더 조정(61.8%면 5081근처)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22일 낮에 외인 선물매도가 많지 않고 오히려 매수(현물 매수는 크게 바라지 않음)해주면 좋은 신호로 해석합니다.
소폭 매수(그간 하락이 큰 종목 위주, SK하이닉스등 반도체 종목 등등)
22일 밤 미장 초반에 매도가 많아 하락하더라도 SPX기준 5081근처나 그 이하는 저점 매수에 주력하고자 합니다.
5050~5030 근처는 더 공격적 매수에 임하고자 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ly 옵션 만기일, Koreabulls (1) | 2025.04.26 |
---|---|
시가를 깨는 미국장이지만 Fractal은 상승을 예상 (0) | 2025.04.24 |
올해 국장, 연기금 매수여력 약 16조원 남아 있는 상황 (0) | 2025.04.21 |
관세정책은 헌법위반-권력남용, 경제학자 939명 반대 연판장, 관세유예는 즉흥적 (0) | 2025.04.20 |
엔비디아 중국용 H20 대안 ?, 유리기판 파운드리 업체 필요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