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iometrics, Fingerprint Sensor, Organic Photodiode/Photodetector, Biometric Smart Card
경제

Weekly 옵션 만기일, Koreabulls

by 네매시스 2025. 4. 26.

무료 webull(스마트폰 앱)로 주요 보유종목 옵션 분포 확인, 최근 세력 매수/매도, 풋/콜 비율등 확인

개별종목 1단위 옵션 가격 프리미엄, 분포도 확인

ETF는 0.5단위 특별한 것 있나 확인

둘째/셋째 동생들은 이런 것이 있는 것 조차 모릅니다. 다른 세계라 여깁니다. 얘기해도 알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가격에 따라 매도/매수가 정해지는 원리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동생들은 매도/매수 결정에 따라 가격이 정해진다고 생각합니다. 

Weekly/Montly 옵션 만기일에 특히 이런 경향이 강합니다. 하루전인 목요일에도 자주 이런 경향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월~수요일은 이런 경향이 적어집니다.

 

신뢰도 높은 Zweig Breadth Thrust 신호 발동되었는데도 장 시작전 빼는 것이 보입니다. 

장 시작전 오후5시부터 어제 종가보다 오른 상태라 이익 실현이 있었고 장은 하락을 시작합니다.

개미투자가는 숏, 인버스로 달려갔을 것입니다. 

그래프 추세선 저항/지지를 확인합니다. 

동생들은 보조지표 여러개는 알아도 추세선을 긋지 않습니다.  피보나치를 적용해보지도 않습니다.

시시각각 변하는 매도세, 매수세의 강함/약함, 시장 흐름, 힘의균형을 느끼지 못합니다.

왜 ? 거래량이 늘어나는지, 줄어드는 지 의문도 가지도 않습니다.

복잡한 것 싫어할 수 있으니 일목균형표 기준선, 단 1개만으로 매수/매도를 정하라고 하고 1~2개 경험적인 보조지표를 활용해보라고 해도 아니면 저 밑에 Koreabulls같은 곳을 이용해보라고 추천하곤 합니다. 

 

개별 종목은 1단위라 당연히 x.01~10, x.11~20 분할매수이고 ETF 종목(0.5단위)은 x.01~x.10과  x.51~x.60과 사이에 분할 매수주문 입니다. 매도세가 강하거나 매수세가 약하면 한단계 아래 x.81~x.99에도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개별종목 x.21~x.90매수는 추격매수이고 ETF는 x.11~x.40 or x.61~x.80는 추격매수로 보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오늘 SOXL경우 11.51~11.60, 매수/매도 지지/저항 박스권을 확인하고 현재 수익에 따라, 추격매수도 합니다. 

개별종목 매도는 당연히 그대로 x.90~99(종목은 1단위라 여기, 분할은 x.80~x.89에도 팝니다, 물론 매수세가 약하면 x.31~x.79에도 매도하기도 합니다.) 

ETF 종목 매도는 x.41~x.50(ETF는 0.5단위라 이곳이나 x.01~x.10)이고 매수세가 강하면 한단계 위인 x.04~x.08, x.54~58에 하기도 합니다.

개별종목/ETF 종목 모두 매수세가 강하고 시장방향에 확신이 들면, 새로운 가격 박스권(1/0.5단위)으로 들어서게 되어서 최종 매도가격은 한단계 더 높아집니다.

 

Webull에서 1/0.5가격단위 박스권마다 옵션 가격 변화 확인

가격 개당 0.02~0.03$이 0.25~0.75/1.25/1.75/2.25$등으로 프리미엄 상승을 확인합니다.

옵션가격을 확인하고 주말에 어떤일이 발생할 지 모르기 때문에 대부분 포지션 정리합니다.

확신이 있다면 금/월, 화/수, 목요일 3부분으로 나눠 장을 대하기에 금요일 추세가 월요일 초반에는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면 일부분 가져가기도 합니다.

 

SPX 5513은 이전 글에서 Bull/Bear 교차선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폭락전에는 5651이었습니다.

 

p.s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이 없으면 대응을 대부분 못하고 반응을 하게 됩니다.

먼저 산 분들이 남긴 유산을 오늘에 사는 사람들이 개괄이라도 이해하기 힘든 것이 많습니다.

뉴스에 나오는 유명 IB, 시장 전문가의 시장 예측이 무엇을 근거로 나오는 지 궁금하지 않던가요 ?

알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귀걸이라고 치부하곤 합니다. 이해하려 하지않으니 장/단점을 모릅니다.

이런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이 호재/악재도 없는데 뉴스도 없는데 왜, 상승하나요 ? 왜, 하락하나요 ?를 묻는 것입니다.

단점을 모르니 이를 보완하는 것도 찾지 않습니다. 

나보다 먼저 산 사람들도 똑같은 고민을 했고 더 나은 대안을 찾으려 했습니다.

서구사람들은 수학/통계관련 교수, 소프트웨어 방법론을 배운 프로그래머들이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일본, 인도 사람들이 만든 것은 서구사람들이 만든 것과 출발점이 다릅니다.

우리나라에는 대부분 서구사람들이 만든 것을 추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존 주식시장 역사 통계치도 구하기 어렵고 전문적으로 이를 가공하는 곳도 없습니다. 

우리 HTS/MTS는 그중 일부분만 구현해 놓은 상태입니다.

자연의 이치를 이해하는 일부고 인간이 만든 시스템이기에 부족한 점이 있기에 컴퓨터, 소프트웨어라는 도구로 해볼 수 없는가 ?를 많이 분들이 시도해 보는 것입니다.

 

https://www.koreanbulls.com/가 한글화되었는데 국내 사용자는 거의 없었는데 이곳에만 알려드린 바 있습니다. 

한글화하는 것은 좋은데 패턴 용어는 한글화하니 직관적이질 못합니다.

종목명도 오래전 데이타가 많이 보이곤 합니다. 기존 사용자는 언어를 English가 편할 수도 있습니다.

Portfolio/Watchlist 종목관리가 편합니다.  

매수단계 Buy Level, Bought at, Stop loss, 매도단계-(Trading) Stop loss, Sell level, Sold at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면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Buy후에 수익이 난 상태에서 Stop loss(Trading stop)가 나타날 때가 중요한데 Stop loss(Trading stop, 저항)가격이 현재주가 보다 높은 위치일때, 결정이 중요합니다. Stop loss(Trading stop) 가격을 넘어서는 상승이 나오면, 문제가 없지만 넘는 시도를 하지도 못하거나 주가가 하락할 때는 빠른 매도/보유지속 결정을 해야 합니다.  이 시스템의 백미는 Stop loss(Trading stop)가 나타날 때, 매도할 것인지 지속 보유(또는 판단유보)결정할 지를 이용자 스스로 경험으로 알아가는 과정입니다. 이미 주가가 더 하락하여 Sell level이나 Sold at에서 최종 매도결정은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에 어긋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Trading) Stop loss가 나타날 때 매도하면 수익을 확정하는 것이고 보유지속은 (Trading) Stop loss를 넘어서는 상승세가 나오는 지 최종확인하는 과정을 두고 판단유보 or 최종 매도(Trading Stop loss나타날 때보다 하락하여 수익이 작아질 수 있음)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Buy level과 Bought at과 차이도 분할매수, 최종확인 매수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Stop-loss는 손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재 주가보다 높은 Stop-loss(Trading stop)는 저항대를 가르킵니다.

 

거래소/코스닥/Recommended는 최근에 추천한 종목, BUY 한정으로 관심을 둘 만합니다. 

중소형주보다 매수/매도호가가 비어진 곳이 적은 대형주를 추천합니다.

미국장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은 Americanbulls도 있는데 무료가 아닌것 같고 제가 이용한 적이 없어 추천 못드립니다. 

종목관리가 안되니 종목 1건씩 검색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보입니다.

특정분야 세계 1위 기업때문에 스웨덴 주식시장 상장 종목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곳을 찾다가 본 곳이었습니다.

 

다음주면 트럼프 정부는 100일 허니문 기간도 끝납니다.